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리뷰]영국 램버트 댄스 컴퍼니 LG아트센터 내한공연

무용

by 알 수 없는 사용자 2012. 9. 22. 04:06

본문

 

▲ 영국 '램버트 댄스 컴퍼니'의 '허쉬(Hush, 2009)'중. 크리스토퍼 브루스 안무로 흰 분칠의
한 가족사의 이야기를 코믹하고 간결하게 그려내었다. ⓒ LG아트센터


[플레이뉴스 박순영기자] 첫 시작순간에 '아, 재밌겠다'는 느낌을 주는 공연은 많지 않다. 물론 그 느낌이 끝까지 가는 것은 더욱 쉽지 않다. 하지만, 14년만에 내한하여 LG아트센터에서 20일과 21일 공연된 영국 '램버트 댄스 컴퍼니'의 무대는 첫 순간부터 마지막까지 한순간도 지루할 틈 없는, 몸짓 언어 대한 100년 전통이 잘 느껴지는 훌륭한 무대였다. 


첫 번째, 크리스토퍼 브루스 안무의 <허쉬 (Hush, 2009)>는 얼굴에 분칠한 가족의 이야기를 코믹하게 그려내고 있었다. 특히, 한 음반의 음악들로 한 무대를 꾸려가면서 이야기 구조까지 이끌어 간다는 점에서 탁월했다. 배경음악으로 사용한 바비 맥퍼린과 요요마의 동명 음반 '허쉬(Hush, 1991)'의 각 곡들이 훌륭했을 뿐만 아니라, 그 힘을 입어 마임과 발레의 경계에서 흰 분칠을 한 무용수들은 억지 몸짓 없는 자연스럽고 사랑스러운 동작들을 모두 표현해 냈다.

가족전체의 소개, 엄마와 아빠의 듀오, 아이들의 춤 등 어쩌면 각 음악과 무용 장면들이 어찌 그리 잘 들어맞는지 참으로 신기할 정도였다. 마지막에 가족 모두 손을 맞잡고 뒤돌아 선 모양은 어쩔 수 없는 삶이지만 그것을 굳세게 헤쳐나가는 하나의 가족이라는 메시지가 명확하게 느껴져 감동을 안겨 주었다.

▲ 팀 러쉬턴 안무의 '모놀리스(Monolith, 2011)'중. 외로운 인간의 몸의
표현을 극대화하여 박수갈채를 받았다. ⓒ LG아트센터


두 번째, 팀 러쉬턴 안무의 <모놀리스(Monolith, 2011)>는 앞 작품과 대비되며 '하나(mono)의 돌(lith)'이라는 제목과 같이 단단함과 외로움을 잘 표현한 작품이었다. 무대 왼편에 서 있는 두 개의 기다란 돌과 낮게 저멀리 있는 황야를 표현한 무대배경이 주제를 간결하게 표현하고 있었다.

힘의 안배와 몸 자체가 보여줄 수 있는 것을 극대화하여, 억지로 무용을 만들었다기보다 몸 자체의 단단함을 잘 드러내는 안무였다. 페테리스 바스크의 음악 역시 현악 사중주의 밀도있는 질긴 음향이 무엇인가를 갈구하는 듯한 느낌을 주며 외로운 인간 몸의 표현을 더욱 잘 보여주어 관객들의 뜨거운 박수를 받았다.

세 번째 작품 <목신의 오후(L'Apres-midi d'un faune, 1912)>는 전설의 안무가 니진스키의 작품으로 초연 당시 고전발레로부터 탈피한 현대성으로 20세기 발레역사의 이정표가 된 작품이다. 이날 공연에서는 안무기록가 앤 휘틀리가 복원한 작품으로 초연 100년 만에 공연되어 더욱 남다른 감회를 주었다.

▲ 니진스키 안무, 앤 휘틀리 복원의 '목신의 오후'. 초연 100년만에 재현되며 옛 시대의 위엄을
드러낸 고풍스러운 작품이었다. ⓒ LG아트센터

 고대 그리스 신전을 연상시키며 가운데 지하무덤의 계단 하나가 놓여있고, 무용수들은 고대 그리스 의상을 입고 화병이나 무덤을 받치고 있는 동작 등 옛 시대의 위엄을 되살려내고 있었다. 무엇보다도 드뷔시의 <목신의 오후에의 전주곡>을 배경음악으로 하여 느릿느릿한 고풍스러움을 더하였다.

마지막으로 보여진, 램버트 댄스 컴퍼니 예술감독 마크 볼드윈이 직접 안무한 <광란의 엑스터시(What Wild Ecstacy, 2012)>는 앞 무대 <목신의 오후>에 대한 반응으로 만들어졌다고 안무자 마크 볼드윈이 직접 밝혔던 작품이다. 두 작품 모두 자연을 소재로 원시적인 본능과 충동, 매혹과 끌림이라는 개념을 다루었지만 특히 <광란의 엑스터시>는 자웅선택(sexual selection)을 잘 나타내고 있다.

시작과 동시에 무대 위쪽에 노란색의 커다란 벌 세 마리의 모형이 등장해 약간의 놀라움을 안겨 주었다. 전혀 엉뚱한 아동극이 시작되나 의아해하고 있을 즈음, 붉은색 의상 무용수들이 등장해 오히려 벌 세 마리 형상의 소품들이 더욱 조화롭게 어울리게 된다. 또한 여러 형태의 의상과 헤어스타일을 한 무용수들의 다양성이 몸짓을 더욱 돋보이게 만든다.

▲ 램버트 댄스 컴퍼니의 예술감독인 마크 볼드윈 안무의 '광란의 엑스터시(What Wild Ecstacy)'. 성의 선택설 (Sexual Selection)을 상징하며, 니진스키의 <목신의 오후>에
반응하여 만든 작품이다. ⓒLG아트센터

앞 세 작품이 현대적 감각이지만 정돈되고 정격적인 절제미를 보여준데 반해, 이 작품은 다소 가볍고 천진난만하면서 재미있다. 특히 그 역할엔 음악이 컸다. 이 무대를 위하여 개빈 히긴스가 작곡한 현대적 음향이 베르그 풍으로 흘러나오고 있었다. 여러 악기 움직임의 잡다한 섞임과 음향이 짝을 찾아 난동을 부리는 벌떼들을 상징하는 무용수들의 움직임과 잘 들어맞았다.

무엇보다 통쾌한 부분은 마지막 장면에 벌떼들의 수많은 알이 천장에서 우수수 떨어지는 장면이었다. 효과를 위하여 많은 공연무대에서 꽃가루(안은미무용단 '사심없는 땐쓰', 2012)나 마이크(2011 HanPAC MixedPlay '마이크', 2011) 등이 무대 위에서 아래로 떨어지는 장면들이 있었지만, 이번 벌떼 알만큼 통쾌한 느낌은 없었다. 욕구의 배설이라고나 할까. 어떤 관객은 실제로 "통쾌하네" 라고 공연이 끝나자마자 말하기도 하였다.

불과 이틀의 공연일 뿐이었지만, 약간의 무용수가 바뀌어 공연되어서 두 번 보러 왔다는 관객은 두 번 모두 좋았다는 반응이었다. 이날 공연은 램버트 댄스 컴퍼니가 추구하는 바, 음악과 무용의 조화가 특히 돋보였고, 과시적인 몸동작 보다는 몸에 대한 이해로 인간의 몸을 자연스럽게 표현하며 다양한 주제를 선보일 수 있는 저력이 느껴지는 공연이었다. 과연 '램버트 댄스 컴퍼니', 100년 전통의 단체임이 입증되는 무대였다.

mazlae@daum.net

(공식페이스북) http://facebook.com/news.ewha

세상을 플레이하라! 오락, 엔터테인먼트 전문 뉴스 - 플레이뉴스 http://ewha.com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